북한인권정보센터는 북한인권, 과거사청산, 피해자 구제를 위해 2003년 설립된
비영리 민간단체입니다.
본문 크기 14pt - 보통 굵기
표 내용 크기 14pt ▼
WHAT WE DO
1. 권리 주체인 ‘북한 주민’의 참여
북한인권 개선을 위한 북한 주민 참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직접 접촉이 불가능한 현상을 반영하여 북한이탈주민 전수 조사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NKDB의 조사에 참가한 북한이탈주민은 본인이 경험한 인권침해 사건 뿐 아니라 목격, 득문한 북한인권 침해 사례 조사에 협조하여 인권 피해에 대한 고발에 있어 절대적으로 사회적 취약계층(vulnerable group)인 북한 주민들의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파악되고 담론의 흐름에 반영될 수 있도록 인권개선의 주체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북한인권정보센터는 이러한 증언들을 국제인권분석기준틀을 준용하여 분석, 자체 북한인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북한인권 실태에 대한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조사 | |
ㆍ | 북한이탈주민 3만 여명 설문, 인터뷰 조사 진행 |
ㆍ | 북한이탈주민의 경험, 목격, 득문 사건 조사 |
ㆍ | 북한이탈주민 전수조사 목표 시행 (1990년대 말~2019년 진행) |
ㆍ | 현재 통일부 전수조사 협조 중단으로 사회조사 진행 |
분석 | |
ㆍ | 국제인권규약 바탕, 북한인권침해 사건 및 인물 정보를 세부 기준을 통해 분류 |
ㆍ | 동일 사건, 인물에 대한 다수 증언 확보 및 크로스체크 분석 |
ㆍ | 직접조사 외, 문헌자료, 언론자료 등 북한인권 공개자료 분석 |
데이터 | |
ㆍ | 북한인권침해 누적사건 78,918만 건 |
ㆍ | 북한인권침해 누적사건 관련 인물 48,924만 건(2020년 9월 기준) |
ㆍ | 데이터베이스 공정성 유지를 위한 비정치, 비종교, 비영리 원칙 |
ㆍ | 관련 연구자, 시민사회 북한인권 데이터 접근성 강화 (시각화, 디지털화 추구) |
본문 크기 16pt - 보통 굵기
표 내용 크기 14pt ▼
WHAT WE DO
1. 권리 주체인 ‘북한 주민’의 참여
북한인권 개선을 위한 북한 주민 참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직접 접촉이 불가능한 현상을 반영하여 북한이탈주민 전수 조사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NKDB의 조사에 참가한 북한이탈주민은 본인이 경험한 인권침해 사건 뿐 아니라 목격, 득문한 북한인권 침해 사례 조사에 협조하여 인권 피해에 대한 고발에 있어 절대적으로 사회적 취약계층(vulnerable group)인 북한 주민들의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파악되고 담론의 흐름에 반영될 수 있도록 인권개선의 주체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북한인권정보센터는 이러한 증언들을 국제인권분석기준틀을 준용하여 분석, 자체 북한인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북한인권 실태에 대한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조사 | |
ㆍ | 북한이탈주민 3만 여명 설문, 인터뷰 조사 진행 |
ㆍ | 북한이탈주민의 경험, 목격, 득문 사건 조사 |
ㆍ | 북한이탈주민 전수조사 목표 시행 (1990년대 말~2019년 진행) |
ㆍ | 현재 통일부 전수조사 협조 중단으로 사회조사 진행 |
분석 | |
ㆍ | 국제인권규약 바탕, 북한인권침해 사건 및 인물 정보를 세부 기준을 통해 분류 |
ㆍ | 동일 사건, 인물에 대한 다수 증언 확보 및 크로스체크 분석 |
ㆍ | 직접조사 외, 문헌자료, 언론자료 등 북한인권 공개자료 분석 |
데이터 | |
ㆍ | 북한인권침해 누적사건 78,918만 건 |
ㆍ | 북한인권침해 누적사건 관련 인물 48,924만 건(2020년 9월 기준) |
ㆍ | 데이터베이스 공정성 유지를 위한 비정치, 비종교, 비영리 원칙 |
ㆍ | 관련 연구자, 시민사회 북한인권 데이터 접근성 강화 (시각화, 디지털화 추구) |
본문 크기 16pt - 얇게
표 내용 크기 14pt ▼
WHAT WE DO
1. 권리 주체인 ‘북한 주민’의 참여
북한인권 개선을 위한 북한 주민 참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직접 접촉이 불가능한 현상을 반영하여 북한이탈주민 전수 조사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NKDB의 조사에 참가한 북한이탈주민은 본인이 경험한 인권침해 사건 뿐 아니라 목격, 득문한 북한인권 침해 사례 조사에 협조하여 인권 피해에 대한 고발에 있어 절대적으로 사회적 취약계층(vulnerable group)인 북한 주민들의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파악되고 담론의 흐름에 반영될 수 있도록 인권개선의 주체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북한인권정보센터는 이러한 증언들을 국제인권분석기준틀을 준용하여 분석, 자체 북한인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북한인권 실태에 대한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조사 | |
ㆍ | 북한이탈주민 3만 여명 설문, 인터뷰 조사 진행 |
ㆍ | 북한이탈주민의 경험, 목격, 득문 사건 조사 |
ㆍ | 북한이탈주민 전수조사 목표 시행 (1990년대 말~2019년 진행) |
ㆍ | 현재 통일부 전수조사 협조 중단으로 사회조사 진행 |
분석 | |
ㆍ | 국제인권규약 바탕, 북한인권침해 사건 및 인물 정보를 세부 기준을 통해 분류 |
ㆍ | 동일 사건, 인물에 대한 다수 증언 확보 및 크로스체크 분석 |
ㆍ | 직접조사 외, 문헌자료, 언론자료 등 북한인권 공개자료 분석 |
데이터 | |
ㆍ | 북한인권침해 누적사건 78,918만 건 |
ㆍ | 북한인권침해 누적사건 관련 인물 48,924만 건(2020년 9월 기준) |
ㆍ | 데이터베이스 공정성 유지를 위한 비정치, 비종교, 비영리 원칙 |
ㆍ | 관련 연구자, 시민사회 북한인권 데이터 접근성 강화 (시각화, 디지털화 추구) |
본문 크기 16pt - 얇게
표 내용 크기 14pt ▼
추가
- 대제목 컬러가 활동기구 대제목이랑 같았으면 좋겠습니다^^!
- 본문 폰트색 조금 더 옅게(#7e7c7c) - 이정도를 테스트 해보았는데 어떠실지...
- 제목과 본문간 간격 아주 조금 더 넓게
- 섹션 배경 조~금 더 밝게
- 표 제목도 얇게
WHAT WE DO
북한인권 개선을 위한 북한 주민 참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직접 접촉이 불가능한 현상을 반영하여 북한이탈주민 전수 조사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NKDB의 조사에 참가한 북한이탈주민은 본인이 경험한 인권침해 사건 뿐 아니라 목격, 득문한 북한인권 침해 사례 조사에 협조하여 인권 피해에 대한 고발에 있어 절대적으로 사회적 취약계층인 북한 주민들의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파악되고 담론의 흐름에 반영될 수 있도록 인권개선의 주체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북한인권정보센터는 이러한 증언들을 국제인권분석기준틀을 준용하여 분석, 자체 북한인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북한인권 실태에 대한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조사 | |
ㆍ | 북한이탈주민 3만 여명 설문, 인터뷰 조사 진행 |
ㆍ | 북한이탈주민의 경험, 목격, 득문 사건 조사 |
ㆍ | 북한이탈주민 전수조사 목표 시행 (1990년대 말~2019년 진행) |
ㆍ | 현재 통일부 전수조사 협조 중단으로 사회조사 진행 |
분석 | |
ㆍ | 국제인권규약 바탕, 북한인권침해 사건 및 인물 정보를 세부 기준을 통해 분류 |
ㆍ | 동일 사건, 인물에 대한 다수 증언 확보 및 크로스체크 분석 |
ㆍ | 직접조사 외, 문헌자료, 언론자료 등 북한인권 공개자료 분석 |
데이터 | |
ㆍ | 북한인권침해 누적사건 78,918만 건 |
ㆍ | 북한인권침해 누적사건 관련 인물 48,924만 건(2020년 9월 기준) |
ㆍ | 데이터베이스 공정성 유지를 위한 비정치, 비종교, 비영리 원칙 |
ㆍ | 관련 연구자, 시민사회 북한인권 데이터 접근성 강화 (시각화, 디지털화 추구) |
WHAT WE DO
북한인권 개선을 위한 북한 주민 참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직접 접촉이 불가능한 현상을 반영하여 북한이탈주민 전수 조사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NKDB의 조사에 참가한 북한이탈주민은 본인이 경험한 인권침해 사건 뿐 아니라 목격, 득문한 북한인권 침해 사례 조사에 협조하여 인권 피해에 대한 고발에 있어 절대적으로 사회적 취약계층인 북한 주민들의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파악되고 담론의 흐름에 반영될 수 있도록 인권개선의 주체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북한인권정보센터는 이러한 증언들을 국제인권분석기준틀을 준용하여 분석, 자체 북한인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북한인권 실태에 대한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조사 | |
ㆍ | 북한이탈주민 3만 여명 설문, 인터뷰 조사 진행 |
ㆍ | 북한이탈주민의 경험, 목격, 득문 사건 조사 |
ㆍ | 북한이탈주민 전수조사 목표 시행 (1990년대 말~2019년 진행) |
ㆍ | 현재 통일부 전수조사 협조 중단으로 사회조사 진행 |
분석 | |
ㆍ | 국제인권규약 바탕, 북한인권침해 사건 및 인물 정보를 세부 기준을 통해 분류 |
ㆍ | 동일 사건, 인물에 대한 다수 증언 확보 및 크로스체크 분석 |
ㆍ | 직접조사 외, 문헌자료, 언론자료 등 북한인권 공개자료 분석 |
데이터 | |
ㆍ | 북한인권침해 누적사건 78,918만 건 |
ㆍ | 북한인권침해 누적사건 관련 인물 48,924만 건(2020년 9월 기준) |
ㆍ | 데이터베이스 공정성 유지를 위한 비정치, 비종교, 비영리 원칙 |
ㆍ | 관련 연구자, 시민사회 북한인권 데이터 접근성 강화 (시각화, 디지털화 추구) |
Database Center for North Korean Human Rights (NKDB) 북한인권정보센터
3rd Floor, 14 Gyeonghuigung-gil, Jongno-gu, Seoul, Republic of Korea
Zipcode: 03175
(03175) 서울 종로구 경희궁길 14, 신영빌딩 3층
TEL : 02-723-6045 E-Mail : info@nkdb.org